티스토리 뷰
2000년대 초 한국에서는 웹, IT에서 새로운 기회를 엿보았고 이를 벤처라는 이름으로 형상화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저마다 개성있는 아이디어를 통해 창업에 나섰고 또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회사를 바라보며 투자를 하였다. 하지만 이 벤처들은 기업이 상품을 만들고 이를 통해 수익을 얻어 주주들에게 배분한다는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누구나 회원가입만 하면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뾰족한 수익구조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투자를 한 사람들은 이내 실망하였고 결국 이 분위기는 거품과 같이 꺼져버렸다.
10년이 지난 지금 일각에서는 제 2의 벤처 붐을 얘기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모바일 등 새로운 트렌드가 가세를 하여 10년전 처럼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사람들은 10년전 후를 비교하고 있다. 10년전의 벤처붐과 비슷하게 진행되고 있고 곧 거품이 꺼질 것이라고 하는 비관론과 10년 후 우리도 구글같은 회사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 또 한 번의 벤처붐은 10년전과 패턴은 비슷할 지 몰라도 그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차이점이 있는 것 같다. 그것은 아무래도 10년전의 경험에 의한 학습효과와 척박하긴 했지만 그래도 10년동안 성장해온 웹 서비스의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또한 두 부류로 나뉘는 창업 주체의 배경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한다. 창업을 하는 사람, 혹은 조직들을 볼 때 크게 두 부류로 나뉘는 것 같다.
첫번째는 웹 서비스의 경험을 가지고 창업을 하는 경우이다. 포털이나 Web 관련 회사에서 수년의 경험을 쌓아 이 경험과 지식에 아이디어를 더해 창업을 하는 사람들이 그 주인공인데 그들의 공통점은 웹 환경과 트렌드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인맥을 바탕으로 창업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이들의 서비스를 보면 참신성이 돋보인다. 하지만 이 같은 경우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 유치나 수익 개선등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두번째는 IT업계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확장을 하는 경우이다. 안철수 연구소의 고슴도치 프로젝트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 사람들은 새롭게 열리는 시장을 차세대 사업영역으로 확장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이러한 형태는 모 아니면 도 라는 식의 비즈니스 전개 보다는 탄탄한 모기업을 등에 업고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모기업이 웹 서비스에 대한 지식이나 시야가 좁다면 의사 결정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실 여기서 어떤 식이 성공에 더 가까운지를 논할 수 없다. 이것은 성공을 이루는 수많은 변수중 하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10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함 없는 것은 결국 성공하는 기업은 돈 보다는 자신들의 철학에서 우러난 핵심 역량을 잘 지킨 사람들이다. 물론 지금같은 변혁기는 기득권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변화가 어떤 맥락을 가지고 있고 시대적 흐름이 어떠한 지에 대한 관찰 없이 그저 돈벌이의 기회로만 받아들인다면 영속적인 성공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그것이 세상의 이치였으니까.
'새로운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z Idea] 소셜 서포트(Social Support) 서비스 (1) | 2010.06.24 |
---|---|
또 다른 벤처 붐을 바라보며 (0) | 2010.06.16 |
트위터의 수익모델, t.co (1) | 2010.06.10 |
소셜 광고, 트위터를 추적하라. (1) | 2010.06.08 |
- Total
- 404,383
- Today
- 2
- Yesterday
- 9
- iPad
- Apple
- SNS
- ebook
- jvm
- Splunk
- 앱스토어
- 스티브잡스
- garbage collection
- 페이스북
- 아이패드
- 구글
- iPhone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애플
- 아이폰
- 전자책
- 소셜네트워크
- runtime data areas
- bigdata
- Web2.0
- 빅데이터
- jvm internal
- 트위터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hotsp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