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어제보다 나은 오늘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어제보다 나은 오늘

검색하기 폼
  • 전체보기 (203)
    •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위하여 (19)
    • IT Trends (119)
    •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며.. (4)
    • 새로운 생각들 (18)
    • 기술이야기 (42)
  • 방명록

ebook (7)
전자책 전략(4) - 소셜 네트워크로 홍보하라.

이전 글 : 전자책 전략(1) - 전자책 시장에 대한 시각 전자책 전략(2) - 전자책의 충격과 그 방향 전자책 전략(3) - 핵심은 컨텐츠의 발굴과 육성 전자책이 활성화 된다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장서의 양은 현재에 비해 훨씬 많아질 것이다. 종이책의 경우 출판 및 보관, 유통에 들어가는 초기 비용 탓에 쉽사리 출판의 문턱을 넘기도 어려울 뿐더러 출판이 되었다 하더라도 일정 수익을 맞추지 못하면 시장에서 사라지는 것이 현실이다. 전자책의 경우 인쇄, 유통, 보관 비용은 거의 제로 수준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출판에 대한 걸림돌은 상당부분 상쇄된다. 전자책 시장이 도래하게 되면 개인 출판 시장이 열리게 된다는 전망도 이와 일맥상통하는 점이다. 이러한 양적인 팽창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성공의 기회를 높여준..

IT Trends 2011. 2. 14. 09:31
전자책 전략(3) - 핵심은 컨텐츠의 발굴과 육성

이전 글 : 전자책 전략(1) - 전자책 시장에 대한 시각 전자책 전략(2) - 전자책의 충격과 그 방향 이전 글에서는 전자책이 어떻게 시장을 변화시킬 것인지를 예상해 보았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이전보다 더 컨텐츠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책을 구입하고 읽게 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책의 출판에 대한 문턱이 낮아져 지금 보다 양적인 팽창이 예상되고 태블릿과 같은 디바이스 환경에서는 디자인이나 조판등 컨텐츠 외적인 부분들은 어쩔 수 없이 평준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자책 이후의 시장은 컨텐츠 그 자체로 우위를 점하는 일이 두드러 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결국 기존의 컨텐츠 생산을 담당해 왔던 작가와 이를 서포트 했던 출판사들에게도 하나의 변화가 예상되는 대목이라 ..

IT Trends 2011. 1. 31. 09:25
기초학문 E-Book 플랫폼

며칠전 트윗을 하다가 착한왕 이상하(@Twitsophy)님이 “진짜 나와야 할 책들을 찍으려고 했는데...”라고 남기신 트윗을 보고 머리를 스치는 생각이 있었다. 세상에 필요하지만 경제논리에 의해 도서시장에서 빠져 버린 책들이 너무나 많다는 사실과 우리나라의 기초학문이 너무도 허약하다는 생각이 한꺼번에 떠올랐다. 연이어 떠오른 생각은 E-Book을 이용해보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생각을 좀 더 정리한 결과 기초학문을 위한 E-Book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말이 거창해서 플랫폼이지만 인문, 사회, 과학과 같은 기초학문에 대한 컨텐츠를 E-Book으로 만들어 이를 모아 놓은 웹사이트 정도인 셈이다. @Twitsophy 님 처럼 세상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책들이 팔리지 않는다는 ..

IT Trends 2010. 6. 23. 11:29
iBooks과 출판2.0

음반, 영화와 같은 시장은 유통업자들의 손에 꽉 잡혀 있었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이 있더라도 이들의 눈에 들지 못하게 되면 그 시장에 진입할 수 없을 정도였다. 하지만 웹2.0은 이것을 바꾸어 놓았다. 재능이 있는 사람들은 유튜브같은 공유 사이트에 자신의 저작물을 올리고 이 중 뛰어난 작품인 경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된다. 그렇게 사람들의 눈에 띄게 되면 이 음악가, 영상 제작가는 두 가지 길을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웹 2.0에 머무르며 수익을 도모하거나 음반제작자나 영화제작자와 같은 기존의 유통업자들 품으로 들어가는 길이었다. 그런데 어느 길로 가건 이들이 만나는 곳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아이튠즈이다. 아이튠즈는 유통업자들이 자신이 유통하는 컨텐츠를 팔기도 하고 개개인이 자신의 저작물을..

IT Trends 2010. 4. 20. 16:22
전자책 시장을 보는 새로운 시각

iPad가 출시되고 iPhone의 새로운 OS에 iBook을 탑재한다는 소식이 전해오면서 전자책 시장에 파문이 점점 커지고 있는 듯 하다. 사실 전자책이 먹음직한 시장이 된 것은 아마존이 킨들이라는 디바이스를 출시한 공로가 크다. 그런데 애플이 자신들의 디바이스를 내어놓음으로써 이 시장을 흔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전자책은 디바이스를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었다. 사실 전자책 시장은 디바이스만으로는 안되고 컨텐츠까지 동반해야 성공한다고 믿고 있다. 전자책을 성공 사업으로 만든 아마존이 그랬고 이를 뒤쫗는 여러 기업들도 마찬가지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 디바이스와 컨텐츠 중 우선시 되는 것은 아무래도 컨텐츠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책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모두 ..

IT Trends 2010. 4. 12. 17:30
iPad, 전자책 시장을 달구다.

iPad가 출시되기도 전 부터 시장이 슬슬 달궈지고 있는 것 같다. 아마존은 벌써부터 iPad에서 기동되는 Kindle을 발표하고 흥분하고 있다. 그리고 아마존의 경쟁자인 반즈앤 노블도 14명의 개발자를 가둬놓고 iPad 앱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문도 들리고 있다. 킨들과 누크라는 자신들의 전자책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시장의 강자들도 iPad에 대해서는 간과하지 못하는 것을 볼 때 역시 iPad가 전자책 시장에 던지는 파장이 미리부터 기대가 된다. PC가 등장한 이후 전자책에 대한 니즈는 계속해서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성공한 전자책이 킨들 정도인 것을 보면 이 시장이 그리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러나 킨들이 성공한 것은 킨들 디바이스가 사람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서가 아닌 것으..

IT Trends 2010. 3. 23. 14:00
책의 소장가치와 E-Book

우리는 책을 왜 사는가? 이 질문의 답은 당연히 책을 읽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단지 읽기 위해서라면 책을 살 필요는 없다. 도서관이나 대여점이라는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책을 산다는 것은 책을 읽겠다는 의도와 책을 소유하겠다는 의도가 합쳐진 행위이다. 다른 물건을 소유하는 것과 구별하여 책을 소유하는 것을 소장이라고 한다. 소장한다는 것은 언제라도 원할 때 이것을 볼 수 있는 권리를 갖는 행위이면서 글이 적혀있는 종이뭉치를 서가에 꽂아 둔다는 행위이기도 하다. 하지만 서가에 꽂아놓은 종이뭉치는 사실 종이뭉치 이상이다. 그래서 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고 소장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요즘 킨들과 같은 E-Book이 화제가 되고 있다. E-Book은 종이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읽는 다는 행위를 상당히..

IT Trends 2010. 1. 21. 23:23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Big Data Myth 1. 우리 회⋯
  • Big Data Myth의 연재를⋯
  • 데이터가 우리 눈 앞에 펼⋯
  • RDBMS에서 실시간빅데이터⋯
최근에 달린 댓글
  • 이 글을 쓴 이유는 악을 보고⋯
  • 잘 읽었습니다.
  • 미국문화를 점령한 유태인에⋯
  • 나치만을 악으로 정의하고 인⋯
Total
403,525
Today
3
Yesterday
14
링크
TAG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 아이폰
  • 스티브잡스
  • garbage collection
  • Splunk
  • SNS
  • 전자책
  • ebook
  • 스마트폰
  • iPhone
  • jvm
  • runtime data areas
  • 애플
  • 빅데이터
  • bigdata
  • Apple
  • 안드로이드
  • 아이패드
  • 트위터
  • Google
  • iPad
  • jvm internal
  • 구글
  • 페이스북
  • 소셜네트워크
  • hotspot
  • facebook
  • Web2.0
  • Twitter
  • 앱스토어
more
«   2022/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15/04 (3)
  • 2015/03 (1)
  • 2014/11 (2)
  • 2014/09 (3)
  • 2014/08 (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